개념 발달 연구에서 가장 주요한 발견은 주제별(thematic) 범주화에서 분류학적(taxonomic) 범주화로의 변화이다. 여러 물체들을 보여준 후 비슷한 것, 함께 가는 것끼리 분류하라고 했을 때 일반적으로 우리는 가구는 가구들끼리, 동물은 동물들끼리 등 유사한 측면끼리 묶어서 분류하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어린 아동들에게 같은 과제를 주었을 때, 더 주제별 관계에 따라 분류를 한다. 여기서 주제별 관계는 같은 상황 혹은 사건에서 일어나는 것 혹은 어떤 한 물체가 다른 하나의 물체의 기능을 충족하는 것 등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떤 남자와 그가 살고 있는 집을 함께 묶는 것은 주제별 범주화라고 할 수 있으며, 여러 집들을 함께 묶는 것은 분류학적 범주화(특정 속성에 따라 묶는 것)의 예시로 볼 수 있다.
이렇게 주제별에서 분류학적 범주화로의 이동은 비고츠키, 피아제 등에 의해 처음 제안되어 여러 연구에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들은 다음의 두 가지 주장을 한다.
- 어린 아동은 분류학적 범주화보다 주제별 범주화를 더 선호한다
- 성인은 분류학적 범주화를 더 선호한다.
하지만 최근 많은 연구들을 첫번째 주장에 반박하는 근거를 보여주었다. 어린 아동들이 주제별 범주화에 큰 흥미를 보여주지 않았으며, 단어 학습 연구에서 학습 초기부터 아동이 분류학적 범주화를 한다는 증거를 밝혔다. 따라서, 아동이 항상 이러한 과제에 분류학적 범주화를 보이지는 않아도, 그들이 이러한 분류학적 범주화를 이해하지 못하는 것은 아니다.
두 번째 주장은 많은 관심을 얻지는 못했다. 아동이 분류학적 범주화를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의 시사점이 성인이 그럴 수 있다는 것보다 시사하는 바가 더 많기도 했고, 성인이 실제로 아동이 분류학적 범주화를 보이지 않은 때에도 분류학적 범주화를 종종 보여주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최근에 이 두 번째 주장에 대한 더 상세한 연구가 시작되었다.
2001년 린과 머피의 연구에서, 성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벌을 보여주고 파리와 꿀 중 어떤 것이 더 벌과 더 잘 분류되는지 물었을 때 학생들은 주제별 분류인 꿀을 더 많이 선택하였다. 또한 제시된 여러 자극들을 달리하고, 지시사항을 달리하고, 보여주는 형식을 달리 했을 때 주제별 범주화는 49~70%를 차지하였다. 또 다른 연구는 주제별 범주가 새로운 속성 추론의 기반이 되며 분류학적 범주화를 촉진함을 보여주기도 하였다. 린과 머피는 주제별 범주화가 개념 발달에 어떤 기능을 한다고 주장한다.
이들은 왜 그 전 연구들에서 성인의 주제별 범주화 반응이 잘 나타나지 않았는지 질문한다. 하나의 이유는 많은 연구들이 자유 범주화 형식으로 연구를 했지만 벌-꿀과 같이 강한 주제별 연관성이 있는 자극을 사용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동물, 식물, 차, 가구의 네가지 분류학적 범주에 속하는 자극들이 있을 때 주제별 범주화가 가능한 자극들이 크게 존재하지 않는다. 그나마 예외라면 나비와 꽃일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자극들은 주제별 및 분류학적 조직화에 공평한 비교를 가능하게 해주지 못한다.
주제별 VS 분류학적 범주화에 대한 공평한 비교를 위해 머피는 다음과 같은 자극을 사용하였다.
주제별 범주화 | ||||
공중 | 바다 | 오토 | ||
분류학적 범주화 | 차 | 비행기 | 배 | 리무진 |
직업 | 파일럿 | 어부 | 운전기사 | |
장소 | 공항 | 항구 | 주차장 |
그 결과, 과반수가 넘는 대학생들이 주제별 범주화를 보여주었다. 이 결과는 그 전 연구에서 주제별 범주화에 대한 자극들의 애매한 연관성이 분류학적 범주화 선호의 원인이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주제별 에서 분류학적 범주화로의 이동이라는 주장은 틀렸음을 보여준다. 많은 예외들이 이미 아동 연구에서도 보여졌으며, 성인 연구에도 나타나고 있다. 여전히 아동들은 분류학적 범주화와 관련있는 상위 개념을 아는 것에 어려움을 가지는 등 성인과 개념 발달에 대한 차이를 보이긴 하지만말이다.
그렇다면, 명백히 분류학적 차이를 알고 있는 성인들은 왜 주제별 범주화를 사용하는 것일까? 간단한 대답은 주제별 범주화가 물체의 속성에 대한 중요한 정보를 가지고 있고, 이 정보는 특히 계획하고 사건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기 때문일 것이다.
출처: Murphy, G. L. (2001). Causes of taxonomic sorting by adults: A test of the thematic-to-taxonomic shift. Psychonomic Bulletin & Review, 8(4), 834-839.
'Study > 발달심리학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간의 뇌: 사고와 학습의 하드웨어 (0) | 2022.01.30 |
---|---|
우리의 생각과는 꽤 다른 인지 및 학습 (0) | 2022.01.29 |
학습 심리 (2) 지능 (0) | 2022.01.22 |
학습 심리 (0) | 2022.01.17 |
밀러 요약_1. 발달심리학 소개 (0) | 2021.12.1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