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tudy/발달심리학 이야기

밀러 요약_1. 발달심리학 소개

by PhD_Ming 2021. 12. 14.
300x250

밀러 요약_1. 발달심리학 소개

Miller, P. H. (2002). Theories of developmental psychology. Macmillan. 정리

 

이론이란?

이상적이고 완벽한, 공식적인 과학 이론이란, 정의(definitions), 공리(axioms), 상정(postulates), 가설적 구성개념(hypothetical constructes), 중재변수(intervening variables), 법칙(laws), 가설(hypothesis) 등등이 상호연관되어 있는 진술들의 집합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진술들은 관찰할 수 없는 구조, 기제, 과정 등을 기술하고 서로 연관시키며, 관찰가능한 사건과 연관짓기 위한 기능을 한다.

  • 가정(공리, 상정): 관찰된 행동과 가장 거리가 먼 개념으로 검증되지 않은채로 받아들여짐 e.g., 피아제 이론에서 사고가 조직화되어있다는 가정
  • 가설적 구성개념: 사건, 물건, 영역, 변인 간 관계를 상정하는 개념들로 직접 이 개념을 관찰하는 것은 불가능하지만, 관찰 가능한 행동을 통해 붙여진 개념들 e.g., 피아제 이론에서 정신적 도식(mental scheme)
  • 가설: 사건, 물건, 속성, 혹은 변인 간 관계에 대한 잠정적 진술로 검증이 가능함. 여러 연구를 통해 충분히 검증이 되었다면 이 가설은 사실(fact)이 됨.
  • 법칙(law): 여러 사실 집합 간의 관계를 다루는 상대적으로 잘 입증된 일반적 진술

우리는 데이타(반복가능한 경험적 관찰)와 이론 사이를 왔다갔다 하며 이론을 만들게 됨. 새로운 사실은 이론을 변화시키며, 이론의 변화는 새로운 실험과 이에 따른 새로운 사실을 생성시킴. 이 새로운 사실은 다시 이론을 변화시키며 이러한 순환적 과정이 계속됨. 데이타는 이론에 대해 강한 지지를 제공해줄 수 있지만 절대로 그 이론이 사실임을 증명할 수 없음. 미래의 관찰이 그 이론에 반하는 증거가 될 수 있기 때문임.

이론을 평가하는 특정 기준

  • 논리적으로 타당해야함. 즉 내적으로 일관적이어야 하며, 진술은 서로 모순되지 않아야함
  • 경험적으로 타당해야함. 즉 과학적 관찰과 모순되지 않아야 함
  • 명확하고, 검증가능해야하며, 인색하여야 하는데 가능한 한 적은 구성개념, 명제 등에 의존해야 함
  • 과학의 상당 영역을 다루어야하며, 이전 연구들을 통합하여야함

모델: 요즘 많은 이론가들은 모델/모형(model)이란 단어를 사용하는데 이는 더 한정된 범위를 다루는 비공식적 이론이라 할 수 있음. 때때로 시각적으로 제시되기도 하며, 때로는 추론같을 수 있음(e.g., 우리의 사고는 컴퓨터와 같다).

발달 이론이란?

발달 이론이 다루는 핵심 가치 중 하나는 "시간에 따른 변화"에 중점을 둔다는 것임. 물론 발달 이론이 자아, 심적 표상, 신경 네트워크 등 비발달적 이론적 개념을 포함하기는 하지만, 비발달적 이론과는 달리 이러한 개념의 시간에 따른 변화를 강조함. 또한 발달 이론은 어떤 과정을 통해 어떤 현상이 이전의 발달로부터 어떻게 나타났으며, 이후에 어떤 발달로 이끄는지를 설명하기 위해 시도함.

발달 이론의 세 가지 과제

  1. 발달 이론은 시간에 따른 사고, 언어, 사회적 행동, 지각과 같은 행동이나 심리 활동의 변화를 설명한다. 하나의 영역이든, 여러 영역이든 이러한 영역의 변화를 기술함 
  2. 하나의 영역 내 혹은 여러 영역 간의 행동이나 심리활동 간의 관계의 변화를 기술함
  3. 위 과제를 통해 기술된 발달 과정을 설명함

발달 이론의 가치

1. 정보의 조직화(Organizing information): 이론은 사실에 의미를 부여하고, 사실에 대한 틀을 제공하며, 중요한 정도를 할당하며, 존재하는 사실을 통합함. 이에 따른 부산물이, 정보를 요약하고 조직화한다는 점임. 예) 방어기제라고 명명하는 것이 이와 관련된 모든 개별 행동을 나열하는 것보다 경제적임.

2. 연구 인도(Guiding Research): 이론은 어떤 관찰을 하도록 우리를 인도하고, 이는 새로운 정보를 생성시킴. 이론의 추상적 진술은 일부 경험적 진술이 사실이라고 예측하는데, 연구자들은 이를 검증할 수 있음. 새로운 관찰 뿐 아니라 이미 익숙한 행동을 재조사할 수도 있음.

발달 심리학 이론이 다루는 주요 이슈/쟁점

발달적 변화는 우리에게 네가지 핵심 논쟁점으로 이끌어줌.

  1. 인간의 기본 본성은 무엇인가?
    • 기계론(mechanistic view): 이 관점에 따르면 세계는 시공간에 따라 작용하는 부분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부분들에 힘이 가해져 연쇄된 반응 작용을 일으킴. 이러한 관점에 따르면, 예측이 완전히 가능한데, 한 시점에서의 상태와 힘의 작용에 대한 완전한 지식이 다음 상태를 추론할 수 있게 해주기 때문이다. 이 관점에 따르면 인간은 환경적 혹은 신체적 원천에 의해 동기화되는 수동적인 존재이다.
    • 유기론(organismic view): 이 관점은 기계보다는 식물이나 동물과같은 살아있는 개체들을 따서 만들어짐. 세계는 본질적으로, 그리고 자발적으로 능동적이고 자기 조절적인 전체로 이루어져 있음. 부분보다는 전체, 부분간의 관계들, 그리고 어떻게 전체가 그 부분들에 의미를 부여하는지 더 관심을 가짐. 선행되는 원인들을 살펴보기보다는, 본질적인 속성 및 목표를 고려함. 인간은 본질적으로 능동적이고 조직화된 전체로 지속적으로 변화하며, 이는 임의적이지않고 특정 방향으로 이루어짐. 
      • 유기론의 관점에서 아동은 물체의 범주와 사건의 원인 등에 대하여 능동적으로 가설을 형성하고 검증함으로 지식을 구성한다면, 기계론적 관점에서는 아동은 수동적으로 현실의 복사본을 습득함
      • 유기론은 기계론과 달리 점진적인 양적 변화보다는 질적인 변화를 상정함
    • 맥락주의(contextualism): 이 관점에 따르면 행동은 오직 사회적, 역사적 맥락에 의해서만 의미가 있음. 행동의 의미는 맥락에 따라 달라지며, 행동은 과거 및 미래애 도달되는 목표를 가지며, 전체적(wholistic)임 "unit-in-context is greater than the sum of a unit and its context"
    • 자본주의(capitalistic system): 인간은 성공을 위해 노력하는 경쟁적인 존재로 보았음. 홉스(Hobbes)는 인간을 이기적이며 경쟁적인 존재로 보았으며, 이러한 관점은 적자생존을 강조했던 찰스다윈을 통해 이어져왔음. 이러한 관점에 따르면 성공의 기준은 백인인 제조업/사업에 종사하는 중산층의 성인 남자이며, 아동, 노인, 지체장애인, 그리고 여성은 열등하다고 생각됨.
    • 중상주의(mercantilistic ideology): 경쟁보다는 협력을 더 강조함. 루소는 아동이 기본적으로 선하지만 성인 세계에 의해 망가지는 존재로 보았으며, 아동은 성인의 기준에 의해서 판단되지 않으며 성인과 아동은 질적으로 다른 존재라고 봄. 
  2. 발달은 양적인지, 질적인지?
    • 기계론/자본주의적 관점은 양적 변화를, 유기론/중상주의적 접근은 질적 변화를 강조하며 맥락주의는 두 가지 모두를 허용함.
    • 질적 변화는 유형에의 변화로 그 예로는 알에서 애벌레가 되고, 고치가 되며, 나비가 되는 과정이 있음. 질적 변화는 일반적으로 구조나 조직의 변화를 포함함
    • 양적 변화는 양, 빈도, 정도의 변화를 의미함. 행동이 더 효율적이되는 것을 예로 들 수 있음
    • 이러한 질적 vs 양적 쟁점은 단계적 vs 비단계적 발달의 쟁점으로 볼 수 있음. 
  3. 본성(nature)과 양육(nurture)은 어떻게 발달에 기여하나?
    • 이전에는 발달에 기여하는 것이 본성인지 양육인지였다면, 요즘에는 본성과 양육은 어느 정도 발달에 기여하는지, 어떤 유형의 행동을 발달시키는지가 쟁점임
    • 오늘날은 본성과 환경의 복잡한 상호작용이 발달에 기여함은 분명해졌으며 어떠한 행동이더라도 본능과 양육은 완전히 개입되어 있음.
    • 유전x환경 상호작용은 유전적 영향을 조절하는 환경적 영향 혹은 인간의 특정 환경적 영향에 대한 민감성에 영향을 미치는 유전적 변산성을 의미함. 다시 말하면 경험은 유전의 표현형에 영향을 미치고 유전은 어떻게 아동이 특정 환경을 경험하고 그 영향의 정도에 영향을 미침. 
    • 인지신경과학은 본성 vs 양육 쟁점을 다루는 또 다른 영향력 있는 분야로, 뇌 영상 기술의 개발로 시작되었음. 연구자는 서로 다른 연령이나 서로 다른 수준의 능력을 가진 아동들이 같은 과제를 할 때의 뇌 활동의 공간적 패턴을 비교한다던가, 같은 연령대의 아동들이 여러 과제를 하는 경우의 뇌 활동을 살펴보며 인지적 과정에서의 발달적 변화에 대한 힌트를 얻을 수 있음.
  4. 발달하는 것은 무엇인가?

이에 대한 답은 그 이론가들이 어떤 이론적 가정을 하고, 어떤 방법론을 사용하는지 등 다음의 몇가지 차원에 따라 달라짐:

  • 분석 수준(세포부터 사회까지)
  • 초점을 맞추는 것이 구조(행동, 사고, 성격 조직)인지 과정(체계의 역동적, 기능적 측면)인지
  • 어떤 내용을 강조하는지(예; 성격 혹은 인지)
  • 명시적인 행동을 강조하는지, 보이지 않는 사고나 성격을 강조하는지
  • 발달을 연구하기 위해 어떤 방법론을 사용하는지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