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tudy/발달심리학 이야기

상위인지(메타인지): 생각에 대한 생각

by PhD_Ming 2022. 2. 6.
300x250

상위인지(메타인지): 생각에 대한 생각

상위인지(metacognition): 자신의 생각 및 사고 과정에 대한 인식, 이해 및 통제

  • 인간 외 다른 영장류, 돌고래도 상위인지 있고 심지어 쥐들도 자신이 아는것과 모르는 것 구분 가능함.
  • 인간이 훨씬 많은 "어떻게 배우는지를 배우기" 능력이 있음은 사실과 가까움

마음이론(theory of mind): 자신과 타인의 내적 심리적 세계에 대한 개인의 이론을 형성하는 것. 즉, 인간의 사고, 믿음, 기분, 동기, 의도 등의 복잡한 이해를 포함함. 

하지만 대부분의 성인조차 우리의 정신적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에 대해 많이 알고있지 않음

 

상위인지 과정: 효과적인 학습은 자기 성찰(self-reflection)과 자기 지시(self-direction)

메타인지는 다음과 같은 지식과 기술을 포함함:

  • 특정 시간 내에 합리적으로 끝낼 수 있는 학습 과제를 알기
  • 어떻게 새 학습 과제를 가장 잘 처리할지 계획하기
  • 어떤 학습 전략이 잘 통하고 안 통하는지 알기
  • 지금 하고 있는 과제에 대한 학습 전략 다듬기
  • 현재 지식 상태에 대해 자기 성찰하기. 즉, 어떤 것을 성공적으로 학습했는지 아닌지 결정하기
  • 이전에 저장했지만 현재 기억해내지 못하는 정보 인출에 대한 효과적인 전략 알기

즉, 자기 성찰(정신적으로 어떤 것이 진행중인지 안으로 살펴보기) 및 자기 지시(학습 활동을 전략적으로 통제하기)가 좋은 상위인지 학습자와 관련됨

지식 관련 믿음: 우리가 생각하기에 생각과 학습은 무엇인지

지식 관련 믿음(epistemic belief): 지식과 학습의 일반적 특성에 대한 믿음을 말함. 

오해 #20: 지식은 크게 개별 사실에 대한 집합임

오해 #21: 우리는 어떤 것을 알거나 아니면 알지 못한다.

하지만 이 두 오해는 틀렸다. 지식관련 믿음은 다음 쟁점에 대한 자기 생성한 개념을 포함함.

  • 지식은 어느 정도 확정적이고 불변하는 속성인가?
  • 지식은 얼마나 복잡한가
  • 새 정보는 어떻게 해야 가장 잘 "사실"로 증명될 수 있나
  • 지식은 얼마나 빠르게 획득되는가?
  • 어떤 요인들이 우리를 좋은/안좋은 학습자가 되게 하나

각각의 쟁점들은 가능한 믿음의 연속선상을 나타냄.

또 지식관련 믿음은 특정 맥락과 영역에 특수적일 수 있음. 예를 들면 일부는 반박 불가능한 사실임(인간의 눈을 통해 봤을 때 풀은 초록색이다). 하지만 다른 일부는 그렇게 확정적이지 않다.

일부 지식관련 믿음은 무의식적인 것일 수 있음; 암묵적 지식(implicit knowledge)일 수 있다는 것. 하지만 암묵적이더라도 우리가 어떻게 공부하고 학습하는지에 영향을 상당히 미칠 수 있음. 예를 들어 지식이 그냥 고립된 부분들의 집합이라고 생각한다면, 학습 시 그냥 단순 반복을 하는 경향이 있음.

사람들의 지식관련 믿음은 연령과 경험에 따라 점점 변화할 수 있음. 이는 성인기까지 계속 변화할 수 있고, 더 높은 수준에서는 교수자와 텍스트북이 지식을 "반박불가능한 사실"이라기보다는 더 애매모호한 경향을 띄는 경우가 있음. 또한, 더 나아가 (전문가를 포함한) 타인의 주장과 의견을 비판적으로 분석하고 평가하는 능력을 기를 수 있음.

항상은 아니지만 발달적으로는, 아주 naive 한 개념화에서 복잡한 것으로 형성해나감

  • 3살: 지식에 대한 현실적인 시각(realist view): 사람들이 말하는 것과 하는 것은 본질적으로 같다고 믿음
  • 4살 이후: 절대적 시각(absolutist view): 타인이 그들에게 말한 것은 꼭 믿지는 않지만, 어떤 것이 옳거나 틀렸다는 흑백 논리를 가짐
  • 청소년기나 성인기: 다중적 시각(multiplist view): 지식은 옳고 그름에 대해 다양한 회색을 구성(분명하게 구분되지 않을 수 있음)하며, 논쟁적 주제에 대해 서로 다른 의견들이 모두 타당할 수 있음.
  • 일부 성인들: 평가적 시각(evaluativist view): 논리적인 원리와 신뢰할 수 있는 연구 결과가 아닌 것보다 훨씬 더 진지하게 받아들여짐.

 

자기 조절적 학습(self-regulated learning): 정신적으로 주도하기

자기조절적 학습은 다음과 같은 인지적 과정을 포함함:

  • 학습에 대한 목표 설정하기
  • 현실적인 접근 계획하기
  • 개인이 생산적일 수 있도록 동기화하기
  • 주의를 자기 통제(self-control)하기
  • 목표 관련 학습 전략을 사용하기
  • 학습 활동을 통해 자기 감독/관리(self-monitoring) 하기
  • 필요할 때 도움 구하기
  • 자신의 마지막 성취 수준에 대해 자기 평가 밒 자기 성찰하기

오해 #22. 우리는 우리가 아는 것과 모르는 것에 대한 판단을 잘 할 수 있다.

이 오해는 사실과 아주 다름. 이해 감독(comprehension monitoring)과 관련한 연구에서, 모든 연령의 참가자들이 새로운 것을 배울 때 자신의 이해에 정확히 알 지 못했음. 대신 그 자료를 안다는 착각(illusion of knowing)을 함

오해 #23. 공부하고 바로 기억해낸다면 나중에도 역시 기억해낼 수 있을 것임

우리가 처음 새로운 정보를 맞닥들였을 때 그 정보는 작업기억(working memory)에 있다. 즉, 최선의 결과는 그냥 아주 짧은 단기기억의 저장고에 존재한다는 말이다. 장기기억으로 이동하는지, 신경학적으로 응고화되었는지는 시간과 지연된 이해 감독(시간이 좀 지난 후 이해 했는지 확인해 보는 것; delayed comprehension monitoring)만이 알려줄 수 있음.

 

전략적으로 행동하기

자기 전략

  1. 현재의 지식관련 믿음을 성찰하고 비판적으로 평가하기
  2. 새로운 자료에 대한 이해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기
  3. 현재의 학습과 공부 전략이 얼마나 효과적인지 성찰해보기
  4. 세계에 대한 절대적 사고관을 보이는 사람 주의하기

교수 전략

  1. 자기 조절적 학습 전략을 가르치고 scaffolding(비계로 해석하는데 솔직히 비계로 쓴다고 의미가 크게 와닿지도 않고, 일상에 사용하는 단어도 아니고.... 그래서 원단어 그대로 가져옴......뜻은 아동의 수준과 역량이 있으면 좀 더 숙련된 타인의 도움으로 그 역량을 넘어선 수행이 가능함. 즉 아동의 수준에 맞게 문제를 쥐어 주고, 도움을 필요로 할 때 서포트 해주면서 점점 더 높은 수행을 할 수 있게 하는 그런 개념임). coregulated learning 개념도 참고하기
  2. 학생들에게 자신의 기억과 학습 노력에 대해 현실적인 기대를 발전시키도록 돕기
  3. 명확하게 이해 감독 능력 가르치기. 예를 들면 자기 질문하기 등
  4. 점진적으로 더 복잡한 지식에 대한 신념 길러주기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