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tudy/발달심리학 이야기

효율적인 학습방법? (2) 학습하려면 인출하라

by PhD_Ming 2022. 9. 1.
300x250

CH2. 연습의 한 유형으로써의 심사숙고(reflection: 번역할 단어가 심사숙고 말고 딱히...존재하지 않는 느낌 ㅠ)

  • 학습의 한 필수적 유형으로, 개인 경험에 대한 심사숙고를 통한 학습이 있음.
  • 심사숙고는 더 강력한 학습으로 이끄는 여러 인지적 활동을 포함함. 즉, 기억으로부터 지식과 이전의 훈련 경험을 인출하고, 이를 새로운 경험과 연결하고, 다음에 무엇을 다르게 할 지 시각적으로 그리고 정신적으로 리허설해보는 것임.

시험효과

  • 심리학에서 유명한 망각 곡선! 어떤 것을 배우면 즉각적으로 70퍼를 잊어버린다는.... 그리고 망각은 점점 느려져 30%는 좀 더 느리게 느리게 잊혀지게됨. 여기서 배울 점은 학습 향상을 위해서는 망각 과정을 방해하는 방법을 찾는 것임
  • 인출을 연습하는 것은 공부 재료에 다시 노출되는 것 보다 훨씬 효과적인 학습이 가능한데, 이를 시험 효과 혹은 인출-연습효과라고 부름
  • 효율적이기 위해서 인출은 계속 반복되어야 하며, 인출 과정에서 텀을 주는게 좋고 인지적 노력을 요하는 것이 아무 생각없는 인출보다 더 효과가 좋음.
  • 틀린 답안에 피드백을 주는 것은 기억을 지속하는 데 더 긍정적인 효과를 줌. 이 피드백조차 약간의 지연을 주는게 즉각적인 피드백을 주는 것보다 더 효과적이라는 연구 결과가 있음.
  • 단답형이나 장문형 시험이 다중응답 혹은 사실/거짓 문제들보다 더 기억에 효과적이지만, 다중응답 시험도 공부 자료를 기억하는 데 충분히 많은 효과를 줌 - 여기서 기억할 것은 더 많은 노력을 요하는 경우 더 많은 기억을 가능하게 한다는 점임
  • 많은 학생들은 인출 연습의 효과에 대해 알지 못함. 
  • 시험은 실제로 반복 읽기보다 지식을 새로운 맥락과 문제에 적용하는 것을 더 촉진하며, 직접적으로 시험보진 않았지만 관련 있는 자료를 기억하고 인출하는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알려짐.
  • 학생들이 시험을 싫어하지만, 실제로 자잘하게 여러 시험을 보는 경우 학기 마지막에 그 수업을 더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남. 
  • 시험을 보고 나면, 학생들은 자신이 놓친 부분을 다시 공부하고, 이를 통해 더 많은 학습이 가능함. 또 자신이 무엇을 알고 무엇을 알지 못하는지 정확히 알게되고, 인출 연습을 통해 학습 강화가 증가됨.
  • 퀴즈가 있기 때문에 학생들은 예습을 더 많이하고, 수업 중 더 집중을 많이 하고, 자신이 무엇을 아는지 그리고 무엇을 더 배워야하는지 더 잘 측정하게 함.

CH3. 연습을 다양하게

수많은 연습에 대한 신화

  • 완성되기까지 수없는 반복적인 연습을 강조하는 것은 선생님이든 운동가든 누구에게나 만연함. 하지만 이는 부적절함. 학습의 정의가 새로운 지식/기술을 획득하고 이후에 적용하는 것이라고 했을 때, 이러한 방식은 전자의 학습(지식/기술 획득)에게만 효과적임. 일상의 다양한 상황에 사용할 때에는 그닥 효과적이지 못함.
  • 연습은 텀을 두고 별개의 기간으로 나누어 훈련되었을 때 훨씬 더 효과적임. 더 나은 기술의 마스터, 더 오랜 기간 보유되는 기술, 그리고 더 나은 다양성을 가능하게 함. 더 많은 노력을 요하긴 함. 이러한 유형의 연습을 할 때는 학습이 더딘것처럼 느껴질 수 있음. 

텀을 둔 연습

  • 현미경을 이용해서 아주 작은 혈관을 재결합하는 수술을 배울 때, 네 번의 세션을 반복적으로 하루에 한 집단보다 일주일의 간격을 두고 진행된 집단이 모든 영역에서 더 뛰어난 수행을 보임. 
  • 왜 텀을 둔 연습이 반복적 연습보다 더 효과적일까? 새로 배운 지식/기술을 장기 기억에 집어 넣는 것이 공고화(consolidation) 과정을 요하기 때문. 이 과정은 기억 흔적이 강화되고 의미가 부여되고 사전 지식과 연결시키는 것을 의미함. 이 과정은 여러 시간 혹은 여러 날들을 필요로 함. 반복적 연습은 단기기억에 의존하지만, 오래 지속가능한 학습은 시간이 걸리는 것임

교차 연습

  • 두개 이상의 과목/기술을 교차적으로 연습하는 것 역시 반복적 연습보다 훨씬 강력한 효과를 줌. 초반의 학습은 더디지만, 이후 마지막 시험에서 문제를 섞은 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보다 훨씬 더 수행이 높음

변형된 연습

  • 다양하게 변형된 연습 (예를 들어 콩주머니를 3피트 + 5피트 던지기를 한 경우, 3피트 던지기만 한 집단보다 4피트 던지기 수행이 더 높았음)은 학습된 것을 다른 상황에 성공적으로 적용하는 능력을 향상시킴. 
  • 얼마나 변형시킬 것인지의 범위는 특정 과제에 따라 다를 수 있으므로 연구를 요함.
  • 최근의 뉴로이미징 연구들은 다양한 유형의 연습이 뇌의 다양한 부분을 사용하고, 더 복잡한 학습 처리 과정과 관련된 뇌 영역에 공고화되는 것으로 보임.

변별화 기술 발달시키기

  • 반복적 연습보다 교차 및 변형된 연습은 맥락을 평가하고, 문제 간 차이를 변별하고 여러 가능성 중 정확한 해결책을 선택 및 적용하는 데 효과적인 것으로 보임.
  • 현실 세계에서 문제 및 기회는 예측하지 못하게 순서와는 무관하게 나타나며, 우리는 이것이 무슨 문제인지 변별하는 능력을 키워야함
  • 사실 지식은 기억 및 인지만을 요하는, 개념 지식보다 낮은 수준의 학습임. 개념 지식은 더 큰 구조 안에서 서로 같이 기능하게 하는 기초 요소들의 상호관계에 대한 이해를 필요로 함. 개념지식은 분류화에 필요한 지식임. 

의과학생들의 집합적 지식의 숙달 향상시키기 (?)

  • 암묵 기억은 새로운 어떤 것을 해석하는 데 과거의 경험을 자동적으로 인출하는 것
  • 인출 연습이 가장 효과적이기 위해서는, 그 지식을 가지고 이후에 무엇을 할지와 관련된 방식으로 학습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임. 스포츠에서 말하는 것처럼 "실전처럼 연습하고, 연습처럼 실전을 수행하기"
  • 무조건적적으로 변형된 연습만이 좋은 것은 아님 - 변형과 반복은 발란스를 이루어야함
  • 실용적 경험이 중요함. 실전 경험은 자동적으로 텀을 둔 인출 연습, 교차 연습, 변형된 연습을 가져다 줄 수 있음.
  • reflection 역시 중요함 - 어떤 상황에서 무엇을 했는지, 그건 어떻게 작동했는지, 그리고 다음에 더 나은 결과를 가져오기위해 어떻게 할 것인지 생각해보는 것은 도움이 될 수 있음.
  • 학회에서 계속 듣기만 하는 것은 우리가 얼마나 빨리 망각하는지를 고려했을 때 추천하고싶지 않음. 퀴즈를 마지막에 주거나 하는 식으로 변형해야

테잌어웨이

  • 간격을 얼마나 두어야 하나? 연습이 생각없는 반복이 되지 않는 정도로 충분한 간격이 좋음. 최소 망각이 이루어 지지 않는 충분한 시간.
  • 더 많이 숙달할수록 연습을 덜 빈번하게 해도되지만, 계속 그 기술/지식을 보유하는 것이 필요하면 연습을 관둬서는 안됨. 
  • 친숙함의 트랩을 주의해야: 당신이 어떤 것을 안다고 그리고 더이상 연습하지 않아도 된다는 느낌을 주의해야
  • 두개 이상의 과목을 교차해 연습하는 것 역시 텀을 둔 연습의 한 유형임
  • 교차연습을 할 때 각각의 연습이 완료되기 전에 바꾸어야.
  • 변형된 연습은 도움이 됨. 주의할 점은 이는 블록화된 연습이 아님........예) 3피트 던지기 & 4피트 던지기를 각각 따로 따로 하는게 아니라 랜덤으로 섞어서 연습해야
  • 텀 주기, 교차 연습, 변형은 모두 우리 삶과 더 잘 직결되어 있음.
  • 리플렉션은 인출 연습의 한 유형으로, 설명(elaboration)과 함께하면 더 효과가 좋음

 

Please think about the following questions and respond based on your reading of Chapters 2 & 3 in Make it Stick.

1. What assumptions are the authors making? Who is represented in this research and whose voices are missing?

2. Reflecting on what you have read, how can you incorporate this information into your own life and learning?

분수 소수 배우는 것 생각해봄

3. The "testing effect" is well documented but also not well understood by the general public. How would you explain the benefits of the testing effect to a friend who argued against testing based on the documented problems with high stakes testing in schools?

4. In what ways can our intuitions regarding our own learning can get in our way of building lasting knowledge?

 

반응형

댓글